Friday, April 28, 2017

CentOS 6.6 리눅스 기초] 6. 기초 명령(2) - ls, file


  

6. 기초 명령(2) - ls, file

■ ls

ls는 디렉터리 콘텐츠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하는 명령이다. cd 명령을 이용하여 경로 이동 후 현재 어떠한 파일들이 존재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ls라는 명령을 사용할 수 있다. ls는 list를 나타내며 디렉터리에 존재하는 파일 목록, 파일 종류, 권한, 소유자, 그룹, 시간 등 다양한 정보를 이 명령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1). 명령 형식

ls [옵션] [인자...]

[] 기호는 괄호 안의 문자가 사용될 수 있고 안될 수 있다는 뜻이다. 옵션에 따라 명령의 결과값은 틀려지며 여러 개 옵션을 동시에 사용할 수도 있다. ls 명령의 인자는 파일 이름 또는 디렉터리 이름이 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름을 나열하여 파일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 ls
# ls -l
# ls -a
# ls -al
# ls -al /etc/init
# ls -l /etc/passwd /etc/group

2). 옵션

 옵 션
 내 용
 -a . 으로 시작하는 숨김 파일들도 보여준다.
 -A 현재의 디렉터리를 나타내는 . 과 부모 디렉터리를 나타내는 .. 을 제외한 모든파일을 보여준다.
 -d 디렉터리 자체 정보를 보여준다.
 -F 기호로 파일의 종류를 알려준다. ( / : 디렉터리 , * : 실행가능파일 @ : 링크파일 )
 -i  파일에 관련된 inode 번호를 보여준다. 파일은 일반적으로 3가지 구성요소로 되어 있다. 파일 이름, inode, datablock . inode는 파일에 대한 속성(소유자, 권한, 파일 종류 등등) 정보가 저장되며 datablock에는 파일의 내용물이 저장된다. 디렉터리도 파일이며 datablock에는 그 디렉터리에 저장된 파일 이름 대 inode 리스트가 저장된다.
 -l 파일의 상세 정보를 보여준다. (타입, 권한, 링크 카운트, 소유자, 그룹, 크기, 시간, 파일명)

■ 파일 종류

  - : 정규 파일 (Regular File)
  d : 디렉터리 (Directory)
  l : 심볼릭 링크 파일 (Symbolic Link File)
  c : 캐릭터 디바이스 파일 (Character Device File) [Unbuffered,키보드, 마우스, 시리얼]
  b : 블럭 파일 (Block File) [Buffered, HDD, USB, CDROM]
  s : 소켓 파일 (Socket File)
  p : 네임드 파이프 파일 (Named Pipe File)
 -R 재귀적으로 하위 디렉터리의 파일들을 모두 보여준다.


■ file

file 명령은 파일에 대한 파일 종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하는 명령이다. ls -l 명령으로 일반 파일이라는 정보를 알 수 있지만 텍스트, 이미지, 쉘 스크립트, 실행 가능 바이너리 파일, 소켓 파일 등과 같은 파일 종류 정보를 좀 더 자세하게 알아보기 위해 사용하는 명령이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