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엔지니어를 위한 VMware Workstation 응용편 : 5장
[ 책 내용은 VMware Workstation 9부터 Pro 15 버전까지 적용 가능합니다.]
이번에는 응용편 5장 기타 기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여기서 알아볼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P2V
2). 가상 디스크 매핑
3). 라이선스 입력
물리적 컴퓨터를 가상머신으로 전환하는 작업을 P2V (Physical to Virtual) 작업이라 합니다. VMware는 이러한 작업을 하기 위한 툴을 제공하는데 그것을 보통 Converter 프로그램이라 합니다. 실제 이름은 VMware vCenter Converter Standalone으로 좀 길죠~ 이 툴을 사용하여 PC나 서버에 설치된 윈도우 또는 리눅스를 가상머신 이미지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요즘은 기업이나 관공서에서 가상화 솔루션을 도입하여 가상머신을 가지고 서비스를 제공하죠. 사용자 입장에서는 서비스가 가상머신에서 제공되는지 물리적인 서버에서 제공되는지는 알지 못합니다. 왜 가상머신을 사용하느냐면 비용 때문에 가상화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요즘 전산실을 가보면 시스템들이 꽉 차있습니다. 새로운 서비스를 위해 새로운 시스템을...? 상면 공간이 없어 들어갈 자리가 없을 정도입니다. 그리고 그 엄청난 시스템들을 돌리기 위해 전력 비용이 들어갈 것이고 유지하기 위해 유지 비용이 들어갈 것입니다. IT 예산의 50% 이상이 유지 비용에 들어가는 것이죠.
그리고 요즘 시스템들은 워낙 성능이 향상되어 과거 서버를 현재 서버로 1 대 1 교체하면 자원이 남아돕니다. 유휴자원이 낭비되는 것이죠. 이러한 유휴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가상화 솔루션이 나왔는 것이죠.
보통 노후화된 서버들은 새 서버에 1 대 10 비율로 통합할 수 있습니다. 그 이상 통합될 수 있는 경우도 많고요. 그러면 10대의 시스템을 1대로 줄일 수 있으니 상면 공간을 줄일 수 있을 것이고 하드웨어가 줄어드니 전력비용도 줄일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당연히 유지 비용도 줄일 수 있는 것이죠. 그래서 요즘은 기업과 관공서 많은 곳에서 가상화를 도입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럼 노후된 서버를 어떻게 가상머신으로 옮겨올 것이냐? 가상머신 생성해서 운영체제, 응용프로그램 설치하고 데이터 마이그레이션을 하거나 P2V 툴을 사용해서 가상머신으로 전환시킬 수 있습니다. Windows Server 2003, 2008 , 리눅스 등의 운영체제를 가진 서버를...
모든 서버들이 P2V 툴을 사용해서 가상머신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전환 안 되는 것은 죽어라 안되니 차라리 가상머신 만들고 수동으로 설치한 후 데이터를 마이그레이션 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Converter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VMware Workstation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상머신으로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아래 동영상에서 테스트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그리고 가상머신의 가상 디스크를 호스트 운영체제에 마운트해서 사용할 수 있는데 만약 호스트 운영체제가 Windows라면 Windows 계열의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가상머신의 가상 디스크를 마운트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리눅스 가상머신의 가상 디스크는 파일시스템을 인식할 수 없기 때문에 마운트는 할 수 있지만 그 안에 있는 데이터는 볼 수 없습니다.
마지막으로 VMware Workstation 평가 기간이 30일인데 이 기간이 지나면 더 이상 가상머신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때는 라이선스 구매를 통해 받은 라이선스 키를 입력하면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개인은 경우 옥션 같은 곳에서 구매할 수 있으며 기업이나 관공서는 VMware 파트너로부터 구매를 할 수 있습니다. 관련된 정보를 아래 동영상들 통해 알아볼까요?
다음 게시물에선 간단한 서비스 환경 구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